시엔스

홍보센터

notice thumb843
  디지털 전환 등의 혁신이 가속화되면서 IT 업계는 전례 없는 변화를 겪고 있다. 솔라윈즈는 변화 환경 속에서 사용자에게 간편하면서 강력하고 안전한 IT 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솔라윈즈 Sascha Giese 헤드긱은 최근 IT 업계의 문제로 하이브리드 IT로의 전환에서 야기되는 복잡성을 문제로 꼽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소개했다. Q. 솔라윈즈는 글로벌 네트워크 솔루션 모니터링 선도업체 중 하나다. 솔라윈즈가 글로벌 네트워크 시장을 선도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A.  솔라윈즈가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업으로 출발한 것은 사실이나, 지난 20년 동안 풀스택 옵저버빌리티의 글로벌 시장 리더로 성장했다. 솔라윈즈 제품은 IT는 물론 비즈니스 전반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지원한다.    안타깝게도 전통적인 IT 부서는 지출이 집중되는 곳으로만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IT 부서 특성상 팀의 협력보다 개별 작업이 많다. 소통의 부재는 이슈에 대한 원인 분석을 지연시키고, 부서 내 마찰과 전반적인 비즈니스 비용 낭비를 야기한다.    솔라윈즈는 팀을 하나로 묶고, 근본적인 원인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떤 상황에서든 즉시 개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게 돕는다. Q. 솔라윈즈는 매년 IT 트렌드 리포트를 발간하고 있다. 이번 2022년 IT 트렌드의 화두는 ‘하이브리드 IT 전환으로 인한 IT 관리 복잡성 증가로 관리자의 관리 능력에 대한 확신 감소’였다.     작년 이슈는 무엇이었으며, 올해 이슈를 비교해 비교된 IT 환경을 설명한다면?  A. 작년 IT 트렌드 중 하나는 보안 위협 양상에 대한 IT 리더의 인식 확산으로 IT 보안에 대한 투자 의지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IT 리더는 다른 리더들이 IT 예산 증가에 동의하도록 설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올해 솔라윈즈는 IT 전문가의 일상 업무에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지를 살펴봤다. 하이브리드 IT로 전환하고, 분산된 연동 앱 제공 모델 채택 등 새로운 기술을 구현하는 비즈니스로 인해 증가하는 복잡성이 문제인 것을 확인했다.   안타깝게도 예산 및 인력 감소, 전 세계적인 인재 부족 등의 문제로 IT 전문가가 새로운 기술을 배울 시간은 충분히 주어지지 않을 것이며, 이런 추세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Q. 코로나19를 겪으며 재택근무 및 원격 근무가 늘어나 전 산업 분야의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앞으로 IT 환경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예측하는가? 그런 변화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솔라윈즈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A. 솔라윈즈는 최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옵저버빌리티’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옵저버빌리티는 모든 디지털 전환 전략의 일부인 ‘하이브리드한 조직으로의 전환 강화’를 지원한다.   온프레미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 모두에 도입 가능하며,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사용자는 도입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옵저버빌리티로 ▲위치 ▲이용 가능한 공급업체 ▲하이퍼스케일러 ▲환경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IT를 관리할 수 있다.   실제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옵저버빌리티 플랫폼은 VPN을 활용하는 엔드포인트 연결을 모니터링하는 등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Q. 솔라윈즈 옵저버빌리티만의 차별점은 무엇인가.A, 옵저버빌리티는 RFC에서 지원하는 전문 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공급업체는 각각 옵저버빌리티에 대해 고유 정의를 내리고 있다. 솔라윈즈는 1999년부터 특정 종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IT 계층을 살펴보려 노력해왔으며, 축적해온 경험이 솔라윈즈의 차별화된 점이다.   솔라윈즈는 옵저버빌리티를 기본적인 수준에서 ▲측정 기준 ▲로그 ▲추적을 옵저버빌리티의 삼위일체로 본다. 이 세 가지를 수집한다는 것은 모두 똑같지만, 이를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이 차이 난다. 솔라윈즈는 오랫동안 플랫폼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사용자가 데이터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기능을 추가했다. 솔라윈즈는 AIOps 기술 도입 등을 통해 자동화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Q. 최근 스티비 어워드, 데이터 혁신 어워드 등 21개 부문에 걸쳐 9가지 제품이 최상급 솔루션으로 선정됐다. 끊임없이 발전하는 솔라윈즈의 핵심 원동력은 무엇인가?A. 솔라윈즈는 “우리의 제품은 괴짜들이 만든다”라고 말한다. 기본적으로 솔라윈즈의 제품은 스크린 너머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솔라윈즈의 많은 임직원들이 IT 분야 경험이 있으며, 사용자의 실제 요구사항을 잘 이해하고 있다.   솔라윈즈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한다. 정확한 고객 니즈를 확인하기 위해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다. 커뮤니티에 올라온 제안은 개발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고, 반영하기도 한다. 타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와 차별되는 솔라윈즈만의 특징이다.Q. 향후 비즈니스 모델 전략은?A. 솔라윈즈 솔루션은 2019년까지 기존의 영구 라이센스 모델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솔라윈즈는 2020년에 사용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 구독 모델을 추가했다. 보다 편리하고 쉽게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장점으로 기업의 구독 라이센스 수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솔라윈즈는 새로운 플랫폼을 ‘구독 우선’으로 전환하고 기본 가격도 인하해 소규모 조직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옵저버빌리티 플랫폼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이브리드 플랫폼 외에도 고객에게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SaaS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서비스형 솔라윈즈’로 당분간 일컬을 SaaS 플랫폼은 인프라를 사용하지 않거나 SQL 라이센싱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싶지 않은 관제 서비스 제공사 및 고객에게 유용할 것이라 예상한다. Q. 마지막으로 고객이 솔라윈즈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를 말한다면?  A. 솔라윈즈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현재의 ‘시큐어 바이 디자인’으로 바꾼 최초의 기업이다. 2020년 12월, 선버스트 사태가 발생하면서 솔라윈즈는 최선의 관행으로 여기던 기존 개발 프로세스를 정교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처로 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솔라윈즈의 새로운 플랫폼은 빌드 프로세스에서 실행 파일이 디자인되는 순간부터 다운로드용으로 게시될 때까지 전 과정에 강화된 보안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제품이다.   솔라윈즈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자 기반의 맥락을 계속 파악하고 있으며, AIOps 기능 등을 결과물에 추가해 고객의 업무를 도와준다.   마지막으로 솔라윈즈는 ‘툴의 통합’을 목표로 한다. 툴의 무질서한 증가는 대부분의 조직이 경험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이며, 비용 낭비의 원인이다. 솔라윈즈는 통합 하이브리드 플랫폼으로 기존 플랫폼의 문제를 해결한다.출처: 함수미 기자 https://www.hellot.net/news/article.html?no=70392 
2022-10-13
notice thumb842
 데이터는 1945년에 개발된 최초의 범용 디지털 컴퓨터 에니악(ENIAC) 시절에도 적시에 적절한 사람이 맡아야만 비로소 가치를 발휘할 수 있었다. 가치 있는 데이터는 기업뿐만 아니라 공급업체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데이터는 어느 기업에서나 중요하지만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관리는 더욱 복잡해진다. 예를 들어, 한 글로벌 기업이 작은 기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고 가정해보자. 싱가포르의 지사는 미국 팔로알토나 독일의 다른 디자인팀과 협력해 제품을 설계할 수 있다. 이후 기기 제조는 전 세계에서 조달된 원자재로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품질과 고객 만족도를 보장하기 위해서 완성품이 사용자에게 도달하기까지 전 세계에서 수집된 수백만 개의 데이터 포인트가 적절히 취합돼 품질과 고객 만족을 보장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데이터는 오늘날 비즈니스에서 확장 가능한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잡하고 전 세계적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 기업은 이 프로세스를 보호하기 위해 다수의 모니터링 툴을 사용하곤 한다. 한번 툴이 도입되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변동이나 오류가 있을 때 알림을 보낸다. 하지만 고장 및 버그 발생 시 오류 위치 파악이 쉽지 않고, IT 전문가가 해결책을 찾기까지 시간이 낭비될 수 있다. 게다가 오류가 없는데도 알림이 빈번하게 잘못 울리면, 피로도가 증가한다. 그로 인해 팀은 비즈니스 개선을 위해 설계된 더 높은 수준의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알림 관리에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이는 IT 조직이 시스템의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잘못된 생각이다. IT 조직은 더 열심히 일하기보다는 더 ‘스마트’하게 일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풀스택 옵저버빌리티(Full Stack Observability)가 해법이 될 수 있다.기존 모니터링은 수동 또는 통계적 임계값을 기초로 텔레메트리 데이터 평가용 메트릭 기반의 대시보드에 의존한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특정 네트워크, 클라우드 또는 인프라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IT 전문가는 애플리케이션과 세부 단일 요소를 추적해 이상 신호를 식별하고 문제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런 모니터링 툴은 인프라 장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서비스 등 관련된 구성 요소가 가동 중인지, 가동 중단 중인지, 변경됐는지를 표시한다. 그러나 크로스 도메인(cross-domain) 상관관계나 서비스 제공 통찰력 또는 운영 의존성이나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지는 않는다.반면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을 사용하면, 이런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IT 조직은 서비스 딜리버리 및 구성 요소 종속성에 대한 엔드 투 엔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술 및 데이터 전문가는 풀스택 옵저버빌리티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측하고 감지할 수 있다.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은 IT 조직이 보다 스마트하게 일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라우팅 및 우선순위 조정을 통해 근본원인분석(Root Cause Analysis; RCA)을 수행하고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 준다. 또, IT 도메인 전체에서 작업을 자동화하고 폐쇄루프(closed-loop) 운영 관리, 리포팅 및 용량 계획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그 밖에 경험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구성 요소 문제, 서비스 레벨 및 필요한 용량 변화를 예측하는 한편, 시각화 및 통찰력, 심층 분석, 작업 속도 효율성 향상, 자동화 및 폐쇄루프 관리 기능도 제공한다. 요약하면, 옵저버빌리티는 수집된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해 통찰력과 자동화된 분석 및 실행 가능한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이는 곧 IT 전문가가 보다 스마트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풀스택 옵저버빌리티를 도입하는 IT 관리, 데브옵스(DevOps) 및 보안팀은 향상된 디지털 환경과 IT 생산성을 통해 일관되고 최적화되며 예측 가능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으로 IT 조직이 받을 수 있은 혜택은 다음과 같다. 서비스 및 구성 요소 레벨 시각화, 인사이트 및 인텔리전스를 통한 신속하고 현명한 의사결정고객 및 임직원 지원 서비스를 최적으로 관리서비스 레벨을 충족하고 문제 해결, 구성, 보고 및 계획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더 가치 있는 활동에 시간 할애 가능결론적으로 IT 조직은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을 이용해 사후 처리 방식에서 벗어나 사전 예방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조직이 보다 생산적인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생산성 향상은 비즈니스 민첩성을 개선하고 서비스 수준을 충족한다. 그 결과, 전체 IT 조직은 보다 지능적으로 작업하고 문제 해결, 구성, 보고 및 계획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비결은 더 열심히 일하는 것이 아니라 더 스마트하게 일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 도입이야말로 바람직한 솔루션이다.* 로히니 카스투리(Rohini Kasturi)는 솔라윈즈의 최고제품책임자(EVP, CPO)이다. 원문보기:https://www.itworld.co.kr/news/257044#csidxe7389b83fd13b9aa03a7805bd8928d7  
2022-10-13
notice thumb835
​주니퍼 네트웍스가 새로운 엔터프라이즈급 유선 액세스 스위칭 플랫폼 ‘EX4100’을 발표했다. EX4100은 최신 마이크로서비스 클라우드와 미스트 AI(Mist AI)를 활용해 모든 캠퍼스 패브릭 아키텍처를 포함한 엔터프라이즈 엑세스 레이어 스위칭 구축을 위한 뛰어난 성능, 용이성, 유연성, 보안을 제공한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또한 주니퍼는 최종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하고, 무선 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AI 기반 인사이트를 통해 유선 보장(Wired Assurance), 무선 보장(Wireless Assurance), 마비스(Marvis)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확장했다. 여기에는 새롭게 자동화된 AP 배치/방향 설정 확인 및 일반적인 MS 클라이언트 문제, DHCP 및 유선 인증 이슈에 대한 신규 처방(Prescriptive) 액션이 포함돼 있다.EX4100은 주니퍼 EX 스위칭 포트폴리오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제품으로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캠퍼스 및 브랜치 환경 성능, 대역폭, 포트 밀도(Port Density) 및 기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EX4100은 이전에 출시된 EX4400과 마찬가지로 네이티브 클라우드 기반 운영으로 단순함과 확장성을 최적화했으며, 주니퍼 AIOps를 통해 최고의 사용자 및 IT 경험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미스트 AI(Mist AI)는 제로 터치 프로비저닝 및 자동화된 워크플로를 통해 배포 시간을 단축하고, 전체 스택 이벤트 상관 관계(Full Stack Event Correlation), 능동적 사전 이상 감지(Proactive Anomaly Detection) 및 셀프 드라이빙 네트워크(Self-Driving Network) 액션을 통해 신속한 문제 해결 기능을 제공한다.IT 팀은 EX4100을 통해 증가하는 IoT 디바이스 수요에 대해 그룹 기반 정책(GBP)을 사용하는 MACsec AES256 및 표준 기반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같은 중요한 보안 기능과 함께 배포 및 액세스 레이어로 확장되는 EVPN-VXLAN 네트워크 패브릭을 원활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버전의 EX4100 스위치는 PoE++(Power over Ethernet, 802.3bt)를 지원해 Wi-Fi 6E 전환을 추진하는 고객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많은 기업들이 WLAN 구축 과정에서 무선 AP 배치 및 방향 설정을 계획된 설계와 일치시키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 주니퍼 미스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주요 Wi-Fi 기반 실시간 위치추적 시스템(RTLS) 공급업체 에카하우와 네트워크 설계 전문업체 아이비웨어 등 도구에서 원클릭으로 평면도를 불러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주니퍼 미스트 솔루션은 설치 후 AP의 실제 배치 및 방향 설정이 원안과 일치하는지 자동으로 검증하고, 쉽고 빠르게 수정할 수 있도록 잘못 배치된 AP를 강조해 표시한다. 이는 채널 상태 정보 및 802.11mc FTM/RTT를 활용하는 특허 출원 중인 알고리즘과 결합된 특허 받은 가상 블루투스 LE(Bluetooth LE, vBLE) 안테나 어레이를 활용하는 주니퍼 무선 보장 서비스를 통해 구현된다. 주니퍼는 유무선 도메인 전반의 문제 해결 및 인사이트 강화를 위해 AI 기반 가상 네트워크 어시스턴트 마비스(Marvis)에 향상된 최신 기능을 추가했다. 그 중 하나가 윈도우 OS 기기에 설치돼 클라이언트 측면의 향상된 정보와 네트워크 가시성을 제공하는 마비스 윈도우 클라이언트다. 이 정보는 미스트AI로 전달돼 마비스가 사용자 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 많은 정보와 실행 가능한 권장 사항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마비스 클라이언트는 상황에 따라 오버레이 센서가 요구되는 다른 공급업체와 달리 추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없이 가치있는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주니퍼 미스트 유선 보장 서비스는 이제 DHCP 장애(예: 서버, VLAN 또는 클라이언트) 원인을 찾아 해결할 수 있게 인사이트를 지원하고, 관리자가 클라이언트 문제로 유선 장치에서 지속적으로 인증에 실패한 사용자와 장치를 식별 가능하도록 새로운 유선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editor@itworld.co.kr원문보기 :https://www.itworld.co.kr/news/244806#csidxa421f622365fdc49858d3b34e008e0c 
2022-08-26
notice thumb831
[데이터넷]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아키텍처의 복잡도나 네트워크 구성의 변경 속도와 무관하게 모든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빠르게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기존 SNMP 기반 모니터링 도구는 최신 네트워크 흐름 분석에 적합하지 않으며, 인공지능·머신러닝 기술이 접목된 ‘옵저버빌리티’가 필요하다. 디지털 혁신,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SaaS 등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에 따라 IT 인프라 환경이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변화를 겪고 있다. 기존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는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지 못하기에 클라우드 채택을 높이면 네트워크 사각지대가 많아지고, 그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특히 SNMP 기반 모니터링 도구는 사전 예방적인 문제 해결 방식이 아니라 알려진 문제만을 처리하도록 설계된 사후 처리 방식의 모니터링 방식으로, 최신 네트워크 흐름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오늘날의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포괄적이고 통합된 가시성을 제공하기 어렵다.이러한 제약은 클라우드 환경 및 분산형 인프라 환경에서 작업해야 하는 IT 부서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Cloud Native Architecture)와 모든 것을 클라우드로 운영하는 체제로의 전환은 다양한 유형의 장비와 네트워크 구조를 급격하게 증가시켰으며, 이 모든 장비와 네트워크는 IT 부서가 네트워크 모니터링의 일부로 관리하게 됐다.동시에 클라우드 환경은 다양한 리소스(클라우드 공급자 네트워크, ISP, CDN 인프라 및 SaaS 애플리케이션 등)와 그 종속성이 상호 작용해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게 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그러나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가진 고립된 벤더 종속적 플랫폼이 확산됐고, 네트워크에 대한 IT 조직의 통제력은 예전보다 취약해졌다. 대신 고도의 가용성과 지연시간을 보장하며 탁월한 고객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는 압박은 그 어느 때보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등장지난 10년간 데이터 과학과 분석 도구는 더욱 발전했으며, 많은 고립된 포인트 솔루션이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됐다. 이제는 머신러닝(ML)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데이터 소스를 결합하고 실행 가능한 새로운 솔루션이 제공되고 있다.이러한 현대적인 접근 방식의 솔루션을 옵저버빌리티(Observability) 솔루션이라 한다. 옵저버빌리티는 모니터링의 진화된 개념으로 기업이 이용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사용해 네트워크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과 네트워크의 내부 상태가 해당 비즈니스의 목표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이는 네트워크상의 예측 가능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석하기보다는 그저 찾아내는 것에 국한된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훨씬 뛰어넘는 접근 방식이다.IT 조직은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를 통해 네트워크의 성능과 가용성 등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원인까지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실제로 기업들이 클라우드로 더 많은 워크로드를 옮기면서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이 더 복잡해졌는데, 옵저버빌리티는 이러한 환경에 대해 가시성을 제공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찾아 해결해 줄 수 있게 도와준다.이번 글에서는 IT 조직이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시대에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확보를 위한 10가지 팁을 알아본다.■ 1단계: SaaS 기반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수용전통적인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는 어플라이언스 기반 솔루션으로 온프레미스 환경에 구축됐다. 이는 IT 조직이 유지·관리해야 하는 자산이 추가된다는 의미와 같다. 이러한 솔루션은 확장이 어려우며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오늘날의 네트워크 관리 어플라이언스는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IT 관리 전략을 현대화하려면 최소한의 노력으로 모든 네트워킹 자산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SaaS 기반 네트워크 관찰 솔루션으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한다.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를 위한 SaaS 기반의 솔루션은 사용량만큼 지불하면 되며, 유연한 확장이 가능하다. 물리적인 어플라이언스로 모니터링하기 어려웠던 클라우드 환경의 장비까지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범위와 복잡도 증가에 맞춰 원활한 확장이 가능하다.■ 2단계: 네트워킹 데이터 관리 중앙화최신 네트워크 인프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외부 서비스(SaaS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서비스), 온프레미스 기반 인프라, 가상 인프라, 사설 네트워크 및 공용 네트워크 등 다양한 소스에서 나온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이러한 모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려면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야 하며, 경고를 실행하는 중앙 로그 수집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해야 한다. 데이터 중앙화 및 통합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으면 자동화된 분석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네트워크 이슈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결국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도구는 서로 다른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필요한 만큼의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중앙의 통합 저장소에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켄틱(Kentik)은 네트워크 성능 데이터를 일반 옵저버빌리티 도구와 결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켄틱 데이터는 뉴렐릭(New Relic)의 옵저버빌리티 플랫폼에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3단계: 메타데이터·태그 활용분석가들은 인덱싱 검색을 위한 컨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데이터에 메타데이터와 태그를 적용할 것을 권장한다. 일반적으로 태그를 지정하거나 기타 메타데이터를 컨텍스트화하는 작업은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도구가 데이터를 변환해 분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수행된다.물론 데이터에 수동으로 태그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규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소스, 데이터 유형 또는 데이터와 연결된 엔드포인트와 같은 요소를 토대로 데이터에 자동으로 태그를 지정하는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도구가 필요하다.켄틱은 네트워킹 데이터에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자율 시스템 번호(ASNs) ▲국가 ▲AWS 리전 ▲BGP 패스(BGP path) ▲도시 ▲연결 타입(Connectivity type) ▲넥스트홉 ASNs(Nexthop ASNs) ▲프로토콜 ▲공급자(Providers) ▲사이트(Sites) ▲트래픽 프로필(Traffic profile) 등과 같은 태그를 자동으로 적용한다.■ 4단계: 벤더 중립 체제 구축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도구는 벤더 친화적인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관찰하도록 설계돼야 한다. 이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수정되고, 새로운 클라우드 서비스 및 공급자 선택이 이뤄지는 등 다양한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IT 조직의 옵저버빌리티 전략이 계속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여러 벤더 독립적인 모니터링 솔루션을 조율하는 방식은 효과가 없다.벤더 중립적이라는 것은 독점적인 데이터 수집 또는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대신 표준화된 개방형 프로토콜을 토대로 네트워킹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모든 클라우드 공급자, ISP 및 애플리케이션 유형과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형식, 유형, 소스에 관계없이 네트워킹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리하는데 일관된 접근 방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5단계: SaaS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보통 네트워크 관리 시 SaaS 애플리케이션을 간과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SaaS 제조사가 SaaS 애플리케이션을 대신 관리해 주기 때문이다.그러나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 관점에서 볼 때, SaaS 문제는 사용자 경험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SaaS 애플리케이션의 연결 오류나 응답 속도, DNS 성능 등과 같은 문제가 SaaS 애플리케이션 문제인지, ISP 네트워크 또는 내부 네트워크 문제인지 즉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SaaS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으로는 SaaS 제조사의 환경에 직접 액세스 할 수 없는, 다시 말해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켄틱은 수십 개의 주요 SaaS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모니터링 에이전트를 운영하며 이를 글로벌 네트워크로 배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켄틱 포털의 SaaS APPs 성능 항목을 통해 조직의 내부 사용자들이 사용 중인 SaaS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에 성능 문제가 발생하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 문제의 근본 원인이 네트워크 내부에 있는지 아니면 외부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 6단계: 클라우드 네트워크 모니터링클라우드 공급자 환경의 네트워킹 문제는 SaaS 네트워킹 성능 문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려면 자체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깊이와 세분성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공용 클라우드 네트워크 및 트래픽 흐름을 모니터링해야 한다.클라우드 공급자의 네트워크, 인터넷 및 자체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리소스 간의 관계를 추적하는 Kentik Map은 이러한 가시성을 제공한다. Kentik Map은 이러한 모든 네트워킹 구성 요소의 토폴로지를 보여주며, 패킷이 공용 클라우드 영역, VPC, 서브넷 및 게이트웨이에 걸쳐 어떻게 이동하는지, 이러한 흐름이 사용자 환경의 네트워크 성능 및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7단계: 외부 네트워크 경로 분석SaaS 애플리케이션이나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과 같은 외부 리소스에서 네트워크 문제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지만, 나머지 문제는 감지하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외부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이 어떤 경로로 라우팅되는지, 네트워크 문제 발생 시 누구에게 연락해야 하며 어떻게 트래픽을 다시 라우팅하는지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경로 분석(Path Analytics)은 이러한 가시성을 제공한다. 경로 분석은 추적 경로를 사용해 퍼블릭 인터넷과 같이 제어할 수 없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흐름을 분석하고 네트워크 각각의 경로별 다양한 서비스 공급자를 파악할 수 있다.켄틱 신세틱스(Kentik Synthetics)의 패스 뷰(Path View) 메뉴는 이러한 가시성을 제공한다. 패스 뷰는 외부 네트워크의 홉 및 물리적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하며, 다양한 관점으로 외부 네트워크 경로를 분석해 시간순으로 경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알려준다.■ 8단계: 네트워크 선제적 테스트현대적인 네트워크 관리는 문제 발생 후에 조치하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 수 없거나 틀린 가정 하에 문제를 파악한다면 이미 그 자체로도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네트워크 관리는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테스트해 선제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하며, 최종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기 전에 사전에 문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테스트 시나리오 에뮬레이션(emulation)을 위한 신세틱 트래픽(Synthetic Traffic)을 생성하는 것이다.이러한 테스트는 페이지 로드 시간, 지터(Jitter), 패킷 손실, DNS 응답속도 및 API 요청 성능과 같은 네트워크 성능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정확하게 분석해야 한다. 특히 사용하는 CDN 트래픽이나 요청이 시작된 지리적 위치 등의 구체적인 조건, 요소들을 토대로 네트워크 성능에 대해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켄틱 신세틱스(Kentik Synthetics)는 페이지 로드 테스트를 통해 포괄적이고 세밀화된 테스트 기능을 제공해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선제적 테스트를 쉽게 할 수 있다. 켄틱을 사용하면, SaaS 애플리케이션 성능, 주요 클라우드 네트워크, BGP 경로 및 DNS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다양하고 종합적인 선제적 테스트 기능을 추가 비용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자체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정의 테스트 라이브러리도 제공한다.■ 9단계: 넷옵스 수용현재 네트워크 관리 조직은 독립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없다. 네트워크 운영팀, 서버 운영팀, 개발자, 데브옵스(DevOps)팀은 물론 기타 이해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업해야 한다. 서로 다른 팀이 협업하며 네트워크와 기타 IT 업무가 상호 보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려면 협업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넷옵스(NetOps)는 이러한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관리 접근 방식이다. 네트워크 엔지니어와 기타 기술 이해 관계자는 옵저버빌리티처럼 네트워크 운영팀과 개발자 및 데브옵스 팀 모두에게 중요한 공유된 방법론을 활용해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고 공통의 목표를 향해 노력해야 한다.켄틱은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데이터를 켄틱에서 뉴렐릭, 스플렁크(Splunk),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와 같은 데브옵스 옵저버빌리티 및 경고 도구로 전송하는 켄틱 파이어호스(Kentik Firehose) 등의 도구를 통해 넷옵스 운영 환경을 지원한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일한 데이터로 작업하면 네트워킹이 더 광범위한 IT 목표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이해하는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넷옵스와 데브옵스의 협업을 위해 켄틱은 켄틱 랩스(Kentik Labs)라는 개발자 커뮤니티를 구축해 오픈소스 네트워킹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켄틱 랩스는 켄틱 파이어호스와 같은 일련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제공해 오늘날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술에 존재하는 경계를 허무는데 일조한다. 이러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모든 문제에 대해 관측 가능하게 만들 때 필요한 정보를 누구에게나 공유될 수 있도록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있다.■ 10단계: 네트워크 관리 위한 AI옵스 수용AI옵스(AIOps)는 AI와 머신러닝을 사용해 복잡한 IT 운영을 자동화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최근 몇 년 동안 IT 분야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AI옵스는 단순히 일반적인 IT 운영 작업만을 위한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 관리에서 여전히 효과적일 수 있다.켄틱과 같은 도구로 복잡한 네트워킹 데이터 세트에 대한 AI 기반 분석을 수행하면 엔지니어가 스스로 감지할 수 없는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복잡한 다계층 네트워크 내에서 성능 문제의 원인을 보다 신속하게 찾아낼 수도 있다.네트워크 실시간 파악·제어 권한 확보오늘날의 네트워크는 불과 2~3년 전과도 확연히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 환경으로의 변화 및 클라우드로의 전환은 기존 네트워크 기술과 도구가 현재의 IT 인프라 환경의 네트워크 성능 문제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완화하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해결 방안은 기존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술에서 최신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기술로 전환하는 것뿐이다. 켄틱과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면 엔지니어가 소유하고 있는 리소스와 외부 제조사가 제공하는 리소스를 포함해 모든 네트워킹 리소스 및 자산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이를 통해 IT 조직은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조직의 네트워크 관리 전략이 비즈니스의 진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확장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다.출처 : 데이터넷(http://www.datanet.co.kr) 
2022-08-18
notice thumb827
[데일리시큐] 솔라윈즈(SolarWinds)가 지난 5일, 솔라윈즈의 IT 운영 관리 제품군이 고객사, IT 전문가, 업계 리더 등으로부터 받은 올해 상반기 수상 실적을 발표했다.솔라윈즈 CEO 수다카 라마크리슈나는 솔라윈즈를 대표해 메리토크(MeriTalk) 주관 ‘사이버 디펜드 어워드’에서 상을 수상했다.또한 솔라윈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스티비 어워드’, 데이터베이스 트렌드 및 애플리케이션(DBTA) 선정 ‘데이터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기업’ 및 ‘데이터 혁신 어워드’ 등에 이름을 올렸으며, 사용자의 평가를 기반으로 한 트러스트래디어스 2021 우수평가 어워즈 21개 부문에 걸처 9가지 제품이 최상급 솔루션으로 선정됐다.그외에도 다양한 어워즈에서 혁신을 주도한 공로를 인정받으며 IT관리 솔루션 선도기업으로서 다시 한번 자리매김했다.솔라윈즈의 최고제품책임자(CPO) 로히니 카스투리(Rohini Kasturi)는 "보안 및 데이터베이스부터 IT 관리 서비스까지 자사의 광범위한 제품과 업계에 대한 풍부한 이해도에 대해 고객사는 물론 보다 광범위한 IT 커뮤니티로부터 인정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이와 같은 업적은 지난 6개월 간의 노력과 최고급 IT 관리 소프트웨어 제공에 헌신한 것에 대한 증명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길민권 기자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119
2022-07-26
notice thumb822
[파이낸셜뉴스] 네트워크 전문 정보기술(IT) 기업 시엔스는 한국 주니퍼네트웍스의 신규 파트너 모집을 위한 오프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3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시엔스 리셀러 세미나'는 시엔스, 주니퍼네트웍스와 새로운 사업을 희망하는 모든 IT솔루션 유통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는 주니퍼 제품 및 솔루션 소개, 주니퍼네트웍스의 파트너 정책, 시엔스 파트너 프로그램 등이 공유됐다.시엔스 관계자는 "미래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주니퍼네트웍스와 협력하고자하는 파트너사들에게 이번 세미나가 첫 단추 역할이 됐다"고 설명했다.2013년 설립된 시엔스는 고객 네트워크 환경 진단 및 컨설팅을 기반으로 설계, 구축, 유지보수 등 토탈 솔루션 공급하는 IT기업이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 주니퍼네트웍스의 한국 총판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성초롱 기자 (longss@fnnews.com)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857132 
2022-06-28
notice thumb819
  [데이터넷] 네트워크 전문 IT 기업 시엔스(대표 서익수)는 한국주니퍼네트웍스의 신규 파트너 모집을 위한 오프라인 세미나를 오는 23일 개최한다고 밝혔다.‘Partner with Juniper, Get on Sciens Wave’라는 슬로건의 ‘시엔스 리셀러 세미나’가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시엔스, 주니퍼네트웍스와 새로운 사업을 희망하는 모든 IT 솔루션 유통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주니퍼 제품 및 솔루션 소개, 주니퍼네트웍스의 파트너 정책 그리고 시엔스 파트너 프로그램 등이 공유될 예정이다.행사는 서익수 시엔스 대표의 인사말과 송상환 시엔스 상무의 회사 소개를 시작으로 김현준 한국주니퍼네트웍스 이사가 ‘주니퍼 경험 최우선 네트워크’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이어 시엔스와 한국주니퍼네트웍스 담당자들이 준비한 기술 세션과 영업&채널 세션 등이 마련됐다.지난 2013년 설립된 시엔스는 고객 네트워크 환경 진단 및 컨설팅을 기반으로 설계, 구축, 유지보수 등 토털 솔루션 공급 능력을 보유한 IT 기업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기업 주니퍼네트웍스의 한국 총판으로서 매년 비약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주니퍼네트웍스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으로, 네트워크와 보안을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시엔스 관계자는 “미래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주니퍼네트웍스와 협력하고자하는 파트너사들에게 이번 세미나가 첫 단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세미나 개최 취지를 전했다.한편 시엔스는 이번 세미나에 참석하는 모든 참석자에게 캠핑박스를 지급하는 등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한다. 자세한 행사 내용은 시엔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데이터넷 윤현기 기자  시엔스, 주니퍼네트웍스 파트너 모집 위한 세미나 개최 
2022-06-20
notice thumb795
 [파이낸셜뉴스] 네트워크 전문 정보통신(IT)기업 시엔스는 네트워크 및 데이터베이스 등의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전문기업인 솔라윈즈와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시엔스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다양한 분야의 솔루션 론칭, 통한 종합 네트워크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솔라윈즈는 1999년 설립돼 전세계 3200명의 임직원을 보유하고 있는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190개국 32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중 95% 이상의 기업이 솔라윈즈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모니터링 솔루션으로서 탁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총판 계약을 통해 시엔스는 네트워크 환경 진단 및 컨설팅을 기반으로 고객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솔루션 공급과 함께 솔라윈즈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솔루션 오리온 플랫폼(Orion Platform)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스토리지, 트래픽 패턴, 데이터 베이스 성능을 통합 관리하는 본격적인 IT운영관리(ITOM) 솔루션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엔스는 이를 기반으로 국내 네트워크 시장에 전략적으로 영업활동을 펼칠 계획이다.시엔스 관계자는 "시엔스의 기술력을 통해 파트너와 긴밀하게 협력해 기업, 금융, 공공 등 고객환경에 따른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NMS 솔루션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시엔스, 솔라윈즈와 총판 계약..종합 네트워크 기업으로 도약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시엔스,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전문기업 '솔라윈즈'와 총판 계약 - 데이터넷 (datanet.co.kr)  
2022-04-19
5 thumb765
 [파이낸셜뉴스] 네트워크 전문 IT기업 시엔스㈜는 오는 25일 한국주니퍼네트웍스의 신규 파트너 모집을 위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시엔스, 주니퍼네트웍스와 새로운 사업을 희망하는 모든 IT솔루션 유통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행사에서는 주니퍼 제품 및 솔루션의 전략과 방향, 시엔스 파트너 프로그램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2013년 설립된 시엔스는 고객 네트워크 환경 진단 및 컨설팅을 기반으로 설계, 구축, 유지보수 등 토탈 솔루션 공급 능력을 보유한 IT기업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기업 주니퍼네트웍스의 한국 총판으로서 매년 비약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주니퍼 네트웍스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으로, 네트워크와 보안을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시엔스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불안한 시장 환경 속에 새로운 비즈니스를 모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시엔스는 이번 세미나 참석자에게 기프티콘 경품을 지급하는 등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한다. 자세한 행사 내용은 시엔스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하다.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2021-05-31
4 thumb379
https://www.gartner.com/doc/reprints?id=1-5WGGL1N&ct=181205&st=sb 
2018-12-26